본문 바로가기

DevOps/Docker

(2)
Deployment와 StatefulSet 개요오늘은 kubernetes에서 배포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인 Deployment와 StatefulSet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지금까지는 Deployment는 stateless 한 워크로드인 경우, StatefulSet은 stateful 한 워크로드인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만 대강 알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좀 더 정확하게 알아볼 예정이다.Deployment두 개를 비교하기 전에 일단 Deployment가 뭔지, StatefulSet이 뭔지 먼저 알아야 한다. 인터넷에 kubernetes deployment를 검색하면 나오는 공식문서에서는 Delpoyment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A Deployment manages a set of Pods to run an application wor..
Rails 프로젝트 도커 캐싱하기 1. 사건의 발단사건의 발단은 몇 달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Rails 프로젝트 컨테이너라이징 작업을 하던 중… 도커 빌드 속도가 너무 느려서 하나를 수정해서 배포해도 6분, 8분, 12분 이런 식으로 너무 오래 걸려서 답답해하고 있었다. 분명히 캐싱이 적용되어 있을텐데? 싶어서 아무거나 하나 눌러서 보니까 웬걸 … 캐시를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었다… ㄴㅇㄱ 다른 루비 프로젝트들은 어떻게 하고 있지? 싶어서 다른 루비 프로젝트도 보니까 그냥 느리게 사용하고 있었다.언젠간 꼭 고쳐야지 … 😔 라는 생각으로 마음속의 백로그로 가지고 있다가 며칠 전부터 드디어 파보기 시작했다.2. 캐싱 적용 방법현재 캐싱을 위해 Github Action 플러그인인 docker/build-push-action를 사용하..